하와이의 싱그러운 하늘과 푸르른 바다를 보며 즐기는 드라이브는 하와이 여행에 생기를 더한다. 복잡한 와이키키만 벗어나면 대부분의 도로는 푸른바다를 벗삼아 신나게 달리기에 이보다 더 좋을 수 없다. 특히, 꼬불꼬불한 골목길이 많은 한국의 도로와는 달리, 뻥 뚫린 큰 대로는 초행길 여행자에게도 힘겹지가 않은것이 하와이 여행의 장점. 하지만, 쇼핑이나 식사를 하기위해 주차공간이나 주차장을 찾으려는 순간 문득 유로주차인지 무료주차인지, 어떻게 주차비를 내야 하는지 등 한번도 접해보지 못한 하와이 주차법에 많은 사람들이 고충을 토로하는데, 이참에 하와이 주차법에 대해 일목요연하게 마이하와이와 함께 정리해보자.
하와이에서 무료주차가 가능한 장소
주차요금이 전혀 필요없는 무료주차장은 관광객이 주로 머무르는 와이키키나 비지니스가 밀집해 있는 다운타운에서는 극히 찾아보기 힘들다. 하지만, 쇼핑센터나 레스토랑, 공원 또는 비치에서는 무료 주차가 가능하다.
- 쇼핑센터 : 알라모아나 센터나 워드 지역은 쇼핑공간이 굉장히 넓어 무료주차공간을 찾는 것은 전혀 문제가 되지않는다. 단, 주차 공간마다 컴팩트(COMPACT)라고 적혀 있는 것을 종종 볼 수 있는데 이것은 주차공간이 작으니 소형차만 주차하라는 뜻이다. 그리고 쇼핑지와 거리가 가까울수록 리저브(Reserve)라고 적혀 있는 주차공간이 많은데 이는 누군가가 그 주차공간을 임대하고 있으므로 공간이 비어 있더라도 절대로 이용해서는 안된다. 이를 어길 시 견인차가 나타나 차를 끌고 가버린다. 또한, 장애우를 위한 주차공간도 절대 주차를 해선 안되는데, 파란색깔로 된 장애우 티켓을 소지한 차량만이 법적으로 주차가능하다. 이를 위반할 경우, 엄청난 벌금을 물어야한다. 또한 로딩(Loading-짐을 내려놓음) 공간도 10분~15분정도만 주차가능하다.
- 레스토랑 : 레스토랑마다 다르지만, 레스토랑 자체에서 주차공간을 소유하고 있는 경우에는 대부분 주차비를 지불하지 않는다. 레스토랑이 다른 매장과 레스토랑을 공용하는 경우에는 식사 후 반드시 웨이터/웨이터리스에게 발리데이션(Validation)을 받아둔다. 발리데이션을 받은 티켓을 보여주면, 주차비를 전혀 내지 않거나 1~2불 정도의 주차비만 지불하게된다.
발렛파킹(Valet Parking)이란, 레스토랑을 가던 쇼핑몰을 가던 항상 볼 수 있는 것이 Valet Parking. 발렛파킹은 대리주차를 뜻하는데, 발렛주차를 하면 직접 주차장을 찾아 이리저리 헤맬 필요는 없지만 발렛파킹비와 팁을 줘야한다. 물론, 레스토랑에 따라 무조건 발렛파킹을 해야하는 곳이 종종있다. 특히, 고급레스토랑일수록 발렛파킹만 하는경우가 다반사이다.
하와이에서 유로주차하기
하와이는 본토에 비해 물가도 비싸지만, 땅값도 만만치 않다. 그래서인지, 가는곳곳마다 이런저런 명목으로 지불해야 할 돈도 많은데, 특히 쇼핑몰을 제외하고는 무료주차 공간을 찾을 생각으로 시간낭비 하지말자. 상업이 성업하는 와이키키의 경우, 호텔주차비는 하루에 20-50달러 정도, 쇼핑지나 레스토랑은 5-10달러선이다. 물론, 와이키키 내 레스토랑에서 식사를 하거나, 물건을 구매하여 발리데이션을 받았다고 하더라도 5불정도는 지불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관광객이 많이 찾는 하와이의 특성상 차량에 관한 수요와 공급은 언제나 최고다. 그래서 곳곳마다 유로주차장이 성업중인데 관리하는 사람이 따로 있어 현금을 직접 받는가 하면, 돈을 넣는 기계와 주차장만 덩그라니 있는 무인 주차장도 많다.
- 무인 주차장에서 돈을 어떻게 지불해야 될지 몰라 쩔쩔매는 경우가 간혹있다. 하와이 여행 중에 반드시 준비해야 될 것은 1달러짜리 지폐. 이유인즉, 가는곳마다 팁을 줘야하는 관광지이기 때문이기도 하고, 또 이렇게 주차요금을 현금으로 지불해야 할 경우가 많이 생기기 때문이기도 하다. 우선 차를 주차하고 난 뒤 출입구에 세워진 기계에 가느다란 구멍에 들어갈만큼 현금을 반으로 접고 또 접어 적혀있는 액수만큼 넣으면 된다. (소규모의 주차장일 경우 무인 주차장이 많다)
- 무인주차장을 제외한 대부분의 주차장은 입구에서 버튼을 누르고 주차시간이 새겨진 카드를 받는다 (분실시 40-50달러 정도의 벌금을 부과하니 잊어버리지 않도록 주의한다). 발리데이션이 필요하다면 그 카드에다 도장이나 싸인을 받아두자. 주차장을 빠져나갈 때 카드를 주고 나온 액수에 맞추어 돈을 지불하면 된다. 요즘은 현금대신 카드를 소지한 사람들이 늘어나는 추세라, 현금카드나 신용카드로 주차비를 지불하는 곳도 상당수 늘어났지만, 현금만 받는 곳도 있으니 항상 현금을 가지고 다니는 것이 좋다.
마지막으로 길거리 주차(Street Parking)가 하와이에서 가능한 주차방법인데, 장소에 따라 요금을 내거나 내지않을 수가 있다. 그리고 요금을 내지 않더라도 시간에 따라 주차가 가능하기도 하고 또 그 반대일 수가 있으므로 싸인을 분명하게 이해하고 넘어가자. 예를 들어, No Parking 8:30am to 5:30pm (오전 8:30분~오후 5시30분 사이에는 주차불가)이라고 적혀있는 경우, 오후 5시 31분 부터 다음날 아침 8시 29분까지는 주차가 가능하다는 이야기다. 따라서, 밤에 차를 세워두고 다음날 아침 8시29분전에 주차한 곳을 떠난다면 티켓을 받을 일은 없다는 말이된다.
길가 곳곳에 세워진 동전 주차장은 대략 주차할 시간에 맞춰 돈을 넣고 Expired (시간초과)이라는 글이 뜨기전에 돌아와야한다. 그렇지 않으면, 동전주차장을 시간마다 확인하는 하와이 주정부 소속 사람들에게 티켓을 받을지도..
길거리 주차는 길거리 주차가 가능하다는 싸인이 적혀있는 곳에만 한다. 시간따라 길거리 주차가 가능하기도 하고 불가능하기도 하기때문에 시간을 잘 확인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예를 들어, No Parking 8:30am to 5:30pm(오전 8:30분~오후 5시30분 사이에는 주차불가)이라고 적혀있는 경우 오후 5시 31분 부터 다음날 아침 8시 29분까지는 주차가 가능하다는 이야기가 된다.
주차를 절대 해서는 안되는 공간
TOW-AWAY싸인이 있는 장소에 주차를 하면, 본인의 차가 견인될 수도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 주택가는 일반적으로 노상주차가 가능하지만, 장소에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으므로 표지를 항상 확인하자
소화전-노상 주차(Street Parking) 할 수 있는 장소에서도 노란색 소화전이 있으면 그 지역은 절대 주차를 할 수 없다. 화재 시 언제라도 소방차가 주차할 수 있어야 하기때문이다.
장애우 전용 주차공간-주차공간 중간에 흰색의 휠체어 마크가 있다면 이것은 장애우에게만 발행되는 인증서를 소지한 차량만이 주차할 수 있다는 뜻이다. 이 공간은 가게나 시설의 바로 옆에 있어 얌체운전자들이 은근슬쩍 주차를 하기도 하는데, 미국에서는 장애우에 대한 법안이 특별히 까다로워 바로 티켓을 받게 된다. 벌금이 굉장히 높아 웬만한 사람들은 절대로 주차를 하지 않는다.
색깔별로 이해하는 하와이 주차
하와이에서는 주차 시 색깔로도 주차유무를 구분할 수 있다. 노상주차 뿐만 아니라, 일반 주차장 내에서도 널리 이용되고 있기 때문에 어느정도 알아두는 것이 편리하다. 색으로 구별하는 것은 시각적으로 알기 쉬어, 한번 익숙해지면 파란색선은 장애우 전용주차장이라고 바로 알 수 있게된다.
흰색: 한 시간 정도의 주차 가능
초록색: 한정된 시간 내 주차가능. 시간은 표지판을 보면된다.
노랑색: 짐을 하역하기 위한 주차공간으로 운전자는 하차해서는 안된다.
빨간색: 주정차 금지구역
파란색: 장애우 차량 주차가능
차량 주차시 조심해야 할 것
고급차량이나 렌트카는 차량도난이나 차량 내 귀중품 도난의 일순위 목표물이다. 따라서, 주차 시 차내에 중요한 귀중품이나 현금은 절대 두지 않도록 하자. 견물생심이라는 말이 있듯이 차량 내 귀중품이나 현금이 보이는 곳에 놓여 있으면 누구나 나쁜생각을 하게된다. 또한, 트렁크 안도 귀중품을 보관해서는 안된다. 또한, 절도범들은 원하는 물건을 훔치기 위해서 유리창을 깨거나 문손잡이 부분을 파손시키기 때문에 희생자는 여러모로 경제적인 손실이 생기기 쉽다. 하와이에서는 특히나 렌트카가 표적이 되기 쉬운데, 옷, 소지품 등을 훔치고 달아나는 경우도 종종 일어난다. 따라서, 차를 한동안 주차해야 한다면 차 안에는 아무것도 두지 않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Leave a Reply
You must be logged in to post a comment.